안녕하세요 아둘맘입니다 첫째에 이어 둘째까지 눈병에 걸렸습니다. 어린이집에서도 많은 아이들이 고생하고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아데노바이러스가 뭔가?라고 찾아보았어요 낯설고 처음 들어보는 초보 엄마 하나씩 배워갑니다ㅠㅡㅠ
다 같이 정확히 알고 많이 아프지 않았으면 합니다.

아데노바이러스란?
출처: 나무위키
- 아데노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, 분변-구강 경로(fecal-oral route)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되며, 저농도의 염소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으므로, 수영장의 물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. 사람 아데노바이러스는 주로 소아에게 감염되며, 드물게 성인에게도 감염된다. 아데노바이러스는 호흡기 질환, 결막염, 위장관염을 일으킬 수 있다.
첫째가 어린이집을 갔다 온 후 금요일 정도에 오른쪽 눈에 눈곱이 끼기 시작했습니다
처음엔 눈이 뭐가 들어갔나 아니면 다쳤나라고 생각했습니다.
시간이 지날수록 노란 눈곱이 더 끼기 시작했고 일단 자고 나서 보자고 하며 아이를 재웠습니다.

아데노바이러스 증상
MSD 매뉴얼(의학)
- 눈 분비물은 바이러스성 결막염의 경우에 묽게 나타나며 세균성 결막염의 경우에는 진한 회색, 녹색 또는 노란색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.
- 유아에게서 설사, 구토 등 위장 증상을 동반해 유아 설사증의 원인으로 중요합니다. 합병증이 없으면 2~5일 만에 회복됩니다.
그날 저녁 열이 36.8도 고열은 아니었지만 자면서 계속 기침을 하고 짜증을 내며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였습니다.
몸이 안 좋아서인지 계속 울고 보챘습니다. ㅠㅡㅠ
토요일이 제일 심했습니다. 양쪽 눈에 눈곱이 끼기 시작했고 부드러운 거즈 수전으로 닦아주었는데 눈 주위가 빨갛게 되었습니다.
바로 병원으로 가서 진료를 받았고 의사는 눈병이 유행이라며 감기 기침약과 안약을 처방해 주었습니다.

아데노바이러스 치료
출처 입력
- 세균성 결막염의 감염 치료의 경우, 항생제 점안액 또는 연고
- 심한 바이러스성 결막염의 경우 반드시 안과를 찾아 병원 진료
- 바이러스성 결막염의 증상(부기 및 불편함) 감소의 경우, 냉찜질
- 손 소독제의 빈번한 사용과 감염 확산을 피하기 위한 기타 예방조치
일반 감기 기침약을 물약과 가루약으로 처방해 주었는데요
눈 안약은 토라미신 하루에 3번~4번까지 4시간 간격으로 눈에 한두 방울 넣어주라고 하더라고요
의사는 심할 경우 하루에 4회 정도 넣어도 괜찮다고 합니다.


예방조치
출처 입력
- 손 소독제의 빈번한 사용과 감염 확산을 방지
- 가족 간 수건을 따로 쓰기
- 사용한 면봉이나 거즈는 바로 버리기
- 손을 자주 씻기
- 물을 자주 먹여주기
※ 아이 진료받을때 의사가 전염된 손을 눈으로 만지거나 비비지 않는 이상 전염은 안된다고 하네요
심할 경우 반드시 병원 진료를 해야 합니다.
첫째 아이는 주말 포함하여 2일을 더 어린이 집을 쉬었고 수요일이 되어서야 어린이집에 등원할 수 있었습니다. 안약이 효과가 좋더라고요 눈곱 끼는 것은 금방 줄었고 눈도 많이 양호해졌습니다. 열은 없어졌고 기침은 다만 1주일 넘게 하고 있습니다.
이제 끝났다 싶었는데 둘째가 어제부터 아프기 시작합니다 똑같이 한쪽 눈 먼저 눈곱이 끼더라고요
그래도 오늘이 제일 심했답니다. 제가 아이 둘이보니 거의 증상이 올라오고 가라앉는 시간은 3일 정도 걸리고 그전에 잠복기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.
무엇보다도 다른 아이들도 많이 안 아프고 잘 지나갔으면 합니다 설사 및 고열이 나는 경우도 있으니 꼭 주의해서 살펴봐 주세요
면역 약한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게 잘 자랐으면 합니다 오늘도 모든 부모님들을 응원합니다
감사합니다.

시간은 지났으나 그래도 이름좀 있는 양반들인듯 아래에는 2015년 안과의 세부분야(각막 및 외안부, 망막, ...
blog.naver.com

새학기가 시작되고 소아과는 다시 성수기(?)가 되었습니다. 영유아 사이에서 감기 바이러스가 유행중인데요, 코로나 바이러스, 독감 바이러스, 리노 바이러스,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(RSV) 등 여러 바이러스가 존재합니다. 그 중에서 오늘은 전통의 강자(?) 아데노 바이러스
naver.me
#아기열감기#아데노바이러스#아기눈곱#rs바이러스#파라바이러스#증상
'육아정보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기 정서발달 키워주려면 하지 말아야 할것 (4) | 2023.03.31 |
---|---|
공유/내 아이 진짜 잘 돌보고 있을까? (4) | 2023.03.30 |
영아의 안정적 애착 형성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? (7) | 2023.03.22 |
아이 실수 어떻게 대처할까? (2) | 2023.03.20 |
상위 1% 공부비법 학습Tip (24) | 2023.03.19 |
댓글